코딩/Next.js

[VsCode] Prettier format on save 기능이 갑자기 느려졌다.

2023. 10. 18. 20:03
목차
  1. 📝 문제
  2. 🔍️ 원인
  3. 🔨 해결책

📝 문제

  • Next.js로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고 있는데, Prettier format on save 기능이 급격하게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.

  • 리액트에서 작업할때는 수정 및 저장시 지연 없이 Prettier format on save 기능이 동작했는데, Next에서는 짧게는 2~3초, 길게는 5초이상 해당 현상이 지속되어 여간 불편한게 아니였다.

🔍️ 원인

  • 구글링 결과, prettier git의 issue에서 비슷한 현상을 겪는 게시글을 찾을 수 있었다
FormatOnSave takes a long time #1333
 

FormatOnSave takes a long time · Issue #1333 · prettier/prettier-vscode

Summary Frequently, when I save a file with FormatOnSave option on, it takes forever to finish saving. I have to quit VS Code and restart. Then, save happens instantaneously again. After a while, t...

github.com

  • 요약하자면, 원인은 포메팅해야할 파일이 너무 많아서 였다.

 

🔨 해결책

  • next의 경우 npm run dev 시 빌드된 파일이 .next 폴더에 저장이 되고, 이 파일들에 대한 포멧팅을 매번 진행하다 보니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.

  • .next를 exclude 처리를 하니 속도가 원래대로 빨리지게 되었다!

'코딩 > Next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Next.js] a태그와 Link 태그의 차이점이 뭘까?  (0) 2023.10.16
  1. 📝 문제
  2. 🔍️ 원인
  3. 🔨 해결책
'코딩/Next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Next.js] a태그와 Link 태그의 차이점이 뭘까?
2워노
2워노
2워노
워노의 코딩 일기
2워노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40)
    • 코딩 (30)
      • 코드스테이츠 45기(FE) (18)
      • JavaScript (1)
      • React (5)
      • HTTP, 네트워크 (2)
      • 데일리 코딩 (2)
      • Next.js (2)
    • Project (8)
      • 삐삐(BIBI: Best Interior) (4)
      • 점메추(점심메뉴추천) (1)
      • 탑개미자원 (3)
    • UI, UX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호스팅케이알
  • 도메인연결
  • å
  • 코드스테이츠
  • next.js
  • 정적리소스
  • 토큰
  • 환경변수
  • 엑세스토큰
  • 한글도메인
  • 리액트배포
  • 리프래시토큰
  • 나만의아고라스테이츠
  • sop
  • cloudtype
  • 404에러
  • Prettier
  • Prettier format on save
  • 프론트엔드부트캠프
  • useState
  • 무한스크롤
  • 임시저장
  • Babel
  • 토큰재발급
  • JWT
  • my agroa states
  • CORS
  • JSX
  • vercel
  • 비동기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2워노
[VsCode] Prettier format on save 기능이 갑자기 느려졌다.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